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곡물 자급률과 공급의 가격 탄력성: 왜 일부 상품은 가격이 올라도 공급이 부족할까?

반응형

곡물 자급률과 공급의 가격 탄력성: 왜 일부 상품은 가격이 올라도 공급이 부족할까?

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쌀을 제외하면 매우 낮은 편이다. 예를 들어, 보리는 53%, 옥수수는 0.8%, 밀은 0.2%에 불과하다. 이러한 곡물들은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낮기 때문에,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공급을 즉각적으로 늘릴 수 없다. 그렇다면,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란 무엇이며, 어떤 상품이 탄력적이고 어떤 상품이 비탄력적인지 알아보자.

 

1.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란?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란 상품의 가격 변동에 따라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 탄력적인 상품: 가격이 변하면 공급량도 큰 폭으로 변하는 상품
  • 비탄력적인 상품: 가격이 변해도 공급량을 크게 늘리거나 줄이기 어려운 상품

예를 들어, 마스크는 가격이 오르면 기업들이 추가 생산을 위해 잔업을 하거나 생산설비를 확대해 공급량을 쉽게 늘릴 수 있다. 반면, 농산물은 가격이 급등하더라도 즉시 생산량을 늘리기 어렵다.

 

2. 공급이 비탄력적인 상품: 왜 가격이 오르는데도 공급이 늘지 않을까?

공급이 비탄력적인 상품은 대체로 생필품과 관련이 있다. 농산물, 석유 등 필수 소비재가 대표적이다.

비탄력적인 상품의 특징

✅ 가격이 올라도 공급을 쉽게 늘릴 수 없다.
✅ 생필품(농산물, 석유 등)이 해당된다.
✅ 정부가 수급을 조절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배추 가격이 폭등하더라도 농부들이 당장 공급을 늘릴 수는 없다. 배추를 추가로 생산하려면 최소 몇 개월의 재배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공급이 가격 변화에 둔감한 상품은,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

 

완전히 비탄력적인 상품도 있다!

어떤 상품들은 가격이 아무리 올라도 공급을 늘릴 방법이 없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다.

  • 골동품: 과거에 생산된 것이므로 새로 만들 수 없다.
  • 경기장 입장권: 좌석 수가 제한적이므로, 공급을 추가할 수 없다.
  • 토지: 새로운 땅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더라도 공급이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품들은 공급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가격이 전적으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3. 공급이 탄력적인 상품: 가격이 오르면 쉽게 늘릴 수 있는 상품

공급이 탄력적인 상품은 기업이 비교적 쉽게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품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공산품이 있다.

 

✅ 예시: 맥주
맥주 가격이 오르면, 맥주 공장은 생산량을 늘려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같은 원료와 설비를 활용해 단기간에 생산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완전히 탄력적인 공급을 가진 상품은 드물다.

  • 생산을 늘리려면 추가 설비나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대응하기 어렵다.
  • 공급량을 무리하게 늘리면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해 기업의 이익이 줄어들 수도 있다.
  • 아이스크림처럼 계절성이 강한 상품은 특정 시기에만 수요가 많기 때문에, 기업이 연중 생산량을 유지하지 않는다.

 

4. 공급의 가격 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

공급이 가격에 따라 얼마나 탄력적으로 반응하는지는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1) 생산 기간

  • 농산물은 재배 기간이 길어 가격이 올라도 바로 공급을 늘릴 수 없다.
  • 반면, 공산품(볼펜 등)은 공장에서 즉시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

2) 저장 가능 여부

  • 볼펜처럼 보관이 쉬운 상품은 공급자가 가격이 내려가면 창고에 보관했다가 나중에 판매할 수 있다.
  • 반면, 배추 같은 농산물은 부피가 크고 저장이 어려워, 가격이 떨어지더라도 공급을 줄이기 힘들다.

3) 자원의 한계

  • 일부 상품은 자원의 희소성 때문에 공급이 비탄력적이다.
  • 예를 들어, 인삼은 특정 지역에서만 자라며, 원유나 구리처럼 한정된 자원은 가격이 올라도 공급을 쉽게 늘릴 수 없다.

 

결론: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중요한 이유

곡물 자급률이 낮은 우리나라에서는 공급이 가격에 비탄력적인 농산물의 가격 변동성이 클 수밖에 없다. 반면, 공산품처럼 탄력적인 공급이 가능한 상품은 가격이 오르더라도 빠르게 조절된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단순히 가격과 공급의 관계를 넘어서, 경제 정책, 기업의 생산 전략, 소비자의 구매 행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