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3장: 수요와 공급을 알아야 경제가 보인다.
경제학 퀴즈
1. 커피와 녹차, 버스와 지하철처럼 한 재화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재화를 무엇이라고 할까?
2. 커피와 프림, 돼지고기와 상추처럼 한 재화를 소비하는 것을 도와주는 재화를 무엇이라고 할까?
3. 사이다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사이다 가격의 하락
② 콜라 가격의 상승
③ 사이다와 같이 먹는 빵값 하락
④ 사이다를 먹는 사람들의 소득 증가
⑤ 사이다를 먹는 인구 증가
4. " 상류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르루 과시하기 위해 지각 없이 이루어진다"는 말을 통해, 상류층의 소비행태를 비판한 경제학자의 이름을 따서 붙인 과시소비 효과는 무슨 효과인가?
5. 소득이 증가해도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를 지칭하는 경제학적 용어는?
① 열등재
② 대체재
③ 보완재
④ 기펜재
⑤ 위풍재
6. 수해 이재민에게 무상으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은 경제학에서 말하는 공급에 들어갈 수 있을까?
① 있다. ② 없다
7. 다음 중 사이다의 공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을 두 가지 고르시오.
① 사이다 가격의 하락
② 설탕 가격의 하락
③ 사이다 공장 노동자의 임금 하락
④ 사이다에 대한 정부의 세율 인상
⑤ 사이다 생산 공장의 증가
정답 : 1. 대체재 2. 보완재 3. ① 사이다의 가격 변화는 '수요량' 의 변화를 일으키며, 나머지 4개는 '수요' 의 변화를 일으킨다.
4. 베블런 효과 5.① 6. ② 시장에서 거래된 것이 아니면 공급이 아니다 7. ①, ④ 사이다의 가격 상승은 '공급' 이 아니라 공급량을 늘리는 요인이다.
8. 가격이 떨어졌는데도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를 일컫는 경제학적 용어는?
9. 가격이 올랐는데도 수요가 늘어나는 명품 같은 재화를 지칭하는 경제학적 용어는?
10. 박지원의 「허생전」에서 허생은 말총과 제수용품을 매점매석하여 큰돈을 번다. 허생이 말총과 재수용품을 매점매석한 이유는 그 재화들이 필수품이면서 ( ) 재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11. 콜라 가격이 상승하면 사이다의 가격과 거래량은?
① 사이다 가격 상승, 거래량 증가
② 사이다 가격 상승, 거래량 감소
③ 사이다 가격 하락, 거래량 증가
④ 사이다 가격 하락, 거래량 감소
⑤ 사이다 가격, 거래량 모두 변함없다
12. 핸드폰에 들어가는 메모리칩의 가격이 내려가면 핸드폰 가격과 거래량은?
① 핸드폰 가격 하락, 거래량 감소
② 핸드폰 가격 하락, 거래량 증가
③ 핸드폰 가격 상승, 거래량 감소
④ 핸드폰 가격 상승, 거래량 증가
⑤ 핸드폰 가격, 거래량 모두 변함없다
13. 콜라 가격이 상승하고 설탕 가격이 하락하면 사이다의 가격과 거래량은?
① 사이다 가격은 알 수 없고, 거래량은 증가
② 사이다 가격 상승, 거래량 증가
③ 사이다 가격 상승, 거래량 감소
④ 사이다 가격 하락, 거래량 증가
⑤ 사이다 가격 하락, 거래량 감소
정답 : 8. 기펜재 9. 위풍재 10. 대체 11. ① 대체재인 콜라 가격이 상승하면서 사이다 가격은 상승, 거래량은 증가 12, ② 핸드폰의 가격은 하락, 거래량은 증가한다. 13. ① 콜라 가격 상승으로 사이다 수요가 늘지만 설탕값 하락으로 공급도 늘어난다. 사이다 가격은 알 수 없고, 거래량은 증가한다.
14. 노동시장에서 건설경기가 활성화되고 외국인 노동자의 입국 심사가 강화되면, 노동자의 임금과 고용자 수는?
① 임금은 상승, 고용자 수는 알 수 없다.
② 임금 상승, 고용 증가
③ 임금 상승, 고용 감소
④ 임금 하락, 고용 증가
⑤ 임금 하락, 고용 감소
15. 축구 붐이 시들고 경기장의 증축공사가 시행된다면, 입장료와 관람객 수는?
① 입장료 상승, 관람객 증가
② 입장료 상승, 관람객 감소
③ 입장료 하락, 관람객 증가
④ 입장료 하락, 관람객 감소
⑤ 입장료는 알 수 없고, 관람객 증가
16. 식당에 가면 '물은 셀프' 라는 표지를 볼 수 있다. 그 식당에서 파는 음식은 가격경쟁과 서비스 경쟁 중 무엇을 할까?
① 가격경쟁 ② 서비스경쟁
17. 백화점에서 대대적으로 바겐세일을 하는 품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대제재가 많다.
②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③ 가격인하 시 총판매 수입이 증가한다.
④ 수요가 가격 변화에 민감하다.
⑤ 사치품이다.
18. 다음 재화 중 가격이 올라도 공급을 단시간에 늘리기 어려운 재화는?
① 사치품
② 필수품
③ 농산품
④ 공산품
정답 : 14. ① 15. ③ 입장권 수요는 감소, 공급은 증가하므로 입장료는 하락한다. 예전에 비해 좌석수가 늘어나므로 관람객 수는 증가한다. 16.① 이 식당은 종업원 수를 줄여서 값싼 음식을 제공하려 한다. 17.② 18.③
19. 공급이 가격에 완전 비탄력적인 재화를 고르시오.
① 콩나물
② 호텔
③ 아름다운 꽃
④ 깨끗한 식수
⑤ 허균의 『홍길동전』 원본
20. 농부가 배추밭을 갈아엎은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배추는 가격이 공급량의 변화에 둔감하기 때문이다.
② 배추는 저장이 용이하지 않다.
③ 배추 가격이 하락하면 총판매 수입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④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바탄력적인 재화이기 때문이다.
21. 부자에게는 비싼 진료비를, 가난한 사람에게는 저렴한 진료비를 받는 의사가 있다. 이 의사는 착한 의사일까? 그리고 합리적인 의사일까?
① 착한 의사이면서 합리적인 의사다.
② 착한의사이면서 비합리적인 의사다.
③ 착한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며, 합리적인 의사다.
④ 착한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며, 비합리적인 의사다.
⑤ 착하지도 않고 합리적이지도 않은 의사다.
22. 가격차별화 정책 중 하나가 아닌 것은?
① 영화 조조할인
② 섬마을 주민에게만 배삯 할인
③ 바겐세일
④ 심야전기 사용자에게 전기료 할인
⑤ 비수기 호텔 사용자에게 숙박료 할인
정답 : 19. ⑤ 20. ① 21. ③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가격차별화가 선의인지, 마케팅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가격차별화는 매출을 극대화하는 합리적인 선택이다. 22. ④ 심야전기는 낮과 밤의 생산가격이 다르므로 동일한 재화라고 볼 수 없다.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165~p168
'책읽기 > 경제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점시장 완벽 정리: 특징, 예시 (2) | 2025.04.08 |
---|---|
독점적 경쟁시장: 경쟁과 독점이 공존하는 시장 (0) | 2025.04.07 |
가격차별화: 기업이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 (0) | 2025.04.05 |
곡물 자급률과 공급의 가격 탄력성: 왜 일부 상품은 가격이 올라도 공급이 부족할까? (0) | 2025.04.04 |
수요의 가격 탄력성: 우리의 소비 습관을 결정하는 힘 (1)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