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란 무엇인가?

반응형

경제 기사를 읽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경제학 원론에서도 빠지지 않고 강조하는 개념, 바로 **'수요'**다. 기업이 사업 계획을 세우거나 시장을 분석할 때, 수요의 변화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그렇다면 수요는 어떤 요인에 의해 변동될까?

1.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란?

수요(Demand)란 경제 주체가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를 뜻한다. 하지만 단순히 갖고 싶다는 마음만으로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가 아니다. 구입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수요자로 인정된다.

📌 [퀴즈] 수요자 판별하기

✔ 가격이 비싸서 노트북 구매를 포기한 철수, 노트북의 수요자일까? 👉 아닐 수도 있다. 만약 철수가 가격이 내릴 경우 구매할 의향이 있다면, 그는 노트북의 잠재적 수요자다. 하지만 아예 구매 의사가 없다면 수요자가 아니다.

✔ 중학생 영희가 벤츠를 갖고 싶어 한다면, 그녀는 벤츠의 수요자일까? 👉 아니다. 구매 욕구는 있지만 소득이 없기 때문에 실제 수요자로 보기 어렵다.

✔ 직장인 홍길동이 철강 시장의 수요자가 될 수 있을까? 👉 어렵다. 철강은 개인이 아닌 기업이 주로 구매하는 상품이므로, 개인인 홍길동이 수요자가 되기는 힘들다.

결론적으로,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란 구매 능력을 갖춘 소비자의 특정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의미한다.

 

2. '수요량'과 '수요곡선'

🔹 수요량이란?

**수요량(Quantity Demanded)**은 특정 가격 수준에서 소비자가 실제로 구매하고자 하는 재화 및 서비스의 양을 의미한다.

 

✅ 수요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 가격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은 감소,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은 증가)
  • 경제학에서는 이를 **'수요법칙(Law of Demand)'**이라고 한다.

🔹 수요곡선이란?

**수요곡선(Demand Curve)**은 특정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다. 수요곡선은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소비자의 소득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3. 수요를 변화시키는 요인

수요량은 단순히 가격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 1) 대체재의 존재

**대체재(Substitute Goods)**란 비슷한 유용성을 가진 상품으로, 한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 예시:

  • 지하철 🚇 vs 버스 🚌
  • 밀 🌾 vs 쌀 🍚
  • 소고기 🥩 vs 돼지고기 🐷

예를 들어, 지하철 요금이 내리면 버스를 타던 사람들이 지하철을 더 이용하게 되어 버스의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

🔹 2) 보완재의 존재

**보완재(Complementary Goods)**란 함께 소비될 때 효용이 커지는 재화다. 하나의 수요가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다른 재화의 수요도 증가한다.

 

✅ 예시:

  • 빵 🍞 vs 우유 🥛
  • 자동차 🚗 vs 기름 ⛽

우유 가격이 내려 많이 팔리면, 우유와 함께 먹는 빵의 수요도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 3) 소비자의 소득 변화

소득이 증가하면 사람들이 더 많은 상품을 구매할 여력이 생겨 수요가 증가한다. 반대로, 경제 불황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소비가 줄어든다.

 

✅ 예시:

  • 보너스를 받은 직장인은 고급 와인바를 가고 해외여행을 떠남 ✈️
  • 경기 불황 시 택시 대신 대중교통 이용 🚋

🔹 4) 소비자의 기호 변화

기술 발전이나 트렌드 변화로 특정 상품의 수요가 급격히 변할 수 있다.

 

✅ 예시:

  • 스마트폰 📱의 등장으로 MP3 플레이어 🎵의 수요 감소
  • 온라인 음원 시장 🎶 급성장

🔹 5) 미래에 대한 기대

사람들은 미래의 가격 변동을 예상하여 소비 결정을 내린다.

 

✅ 예시:

  • 주식 📈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투자
  • 담배값 인상 전에 대량 구매하는 현상 🚬

🔹 6) 인구 변화

인구구조가 바뀌면 특정 상품의 수요가 변할 수 있다.

 

✅ 예시:

  • 고령화 사회 → 노인 대상 보험 상품 증가 👴👵
  • 출생률 상승 → 곡물 소비 증가 🌾
 

4. 결론

경제 기사를 보면 항상 **'수급(수요와 공급)'**이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다. 상품의 가격은 시중에 풀린 통화량, 독과점 여부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가장 근본적인 요소는 바로 수요와 공급이다.

오늘은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공급'에 대해 깊이 살펴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