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가격과 가치는 어떻게 다를까?

반응형

홍길동 선수가 처음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했던 1997년 연봉이 30만 달러였다. 그러나 경기를 뛸 때마다 10승 이상의 성적을 꾸준히 내며 팀에 기여하자, 팀의 활약도를 인정해주기 위해 홍길동 선수가 몸에 담고 있던 팀에서 7년간 7,00만 달러의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이 때 홍길동 선수의 가치는 얼마이고, 가격은 얼마라고 할 수 있을까?

 여기서 경제 객체인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과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아울러 가치를 평가하는 수단이 무엇인지도 알아보자. 오늘날 우리가 흔히 쓰는 지폐가 명목화폐인데 명목화폐의 성질을 이해해보자.

가격이란?

가격 ( price ) 은 시장에서 수요자와 공급자에 의해서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며 지불되는 재화의 양을 말한다.

가치란?

가치 ( value ) 는 그 상품이 지닌 잠재성을 현재 가치로 환원한 값이다.

 

중고 중형차와 소형차의 예시로 보는 가격과 가치

 중고 중형차와 소형차가 매물로 나왔다. 각 차의 가치는 고정적이다. 보통 중고 중형차가 가치가 더 크다. 그러나 유가가 폭등하면 어떻게 될까? 기름값 부담 때문에 중고 중형차 수요가 줄어들면서 가격이 떨어지고, 중고 소형차는 수요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오르거나 덜 떨어진다. 또 같은 중고 소형차라도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진다. 

 

✅ 가치와 가격 정리

  • 상품이 가진 변하지 않는 본질인 것 → 가치
  •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정해지는 상대적인 값 → 가격

화폐의 가치?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기 위해 생활용품 등을 살 때 돈을 쓴다. 즉 화폐를 쓰는데 화폐의 기준은 상품의 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일반적이다. 그 상품이 얼마만큼의 돈 ( 가격 ) 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가 하는 것이 곧 그 제품에 대한 가치평가가 된다.

 

명목화폐 VS 실질화폐?

화폐는 명목화폐와 실질화폐로 나눌 수 있다.

  • 말 그대로 그 화폐에 새겨진 금액과 같은 실제적 가치를 가진 화폐 대표적인 예로는 금 → 실질화폐
  • 화폐 자체의 실질적인 가치는 없지만 이것을 발행한 측이 보증을 약속하고, 사회의 구성원이 그 가치를 인정하는 화폐 → 명목화폐

명목화폐와 실질화폐의 특징

명목화폐의 특징

   - 1만원이든 100달러이든 종이 자체는 가치가 없다,

   - 화폐에 표시된 숫자 ( 액면가 ) 만큼의 가치를 가진다.

   - 이것을 사용하는 국가의 신용도가 떨어지거나 부도가 나면 가치가 떨어지거나 휴지조각이 될 위험이 다분하다.

 

실질화폐의 특징

   - 발행한 주체는 반드시 그 화폐의 가치에 맞는 현물, 금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 이제 금본위제가 폐지가 되어 화폐 공급이 금에서 자유로워짐

 

 

끝으로 퀴즈를 내면서 끝을 내겠다. 우리나라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돈이 명목화폐일까? 실질화폐일까? 이 글을 잘 읽었다면 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가격과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고 명목화폐와 실질화폐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