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2장 경제공부의 기본기를 닦아보자 경제학 센스 퀴즈

반응형

차례

2장: 경제공부의 기본기를 닦아보자

경제학 퀴즈

 

1. 다음 중 아무것도 포기하지 않으면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비용이 없는 재화' 는 무엇일까?

  1. 쓰레기
  2. 공기
  3. 아이스크림
  4. 고속도로

정답

② 공기
공기는 아무런 기회비용 없이 얻을 수 있다.

 

 

2. 길동씨가 애인과 같이 영화관에 가기로 했다. 영화관에 가기로 해서 영화표 2장을 샀는데, 애인이 약속시간에 늦을 것 같다며 다음 회차의 영화를 보자고 했다. 하지만 길동씨는 영화표를 환불하지 못하였다. 환불하지 못한 채 다음 회차의 영화표를 샀다. 이때 길동씨가 지불한 영화표 값과 그 영화를 보지 못한 시간과 비용이 지나갔고,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이라고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할까?

  1. 한계비용
  2. 추가비용
  3. 기회비용
  4. 매몰비용

정답

② 매몰비용

 

 

3. 입학금을 포함한 사립대학 등록금이 연 1,000만원을 넘어서자,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입학을 포기하고 대신 취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대학 등록금이 자꾸 오른다면, 대학 진학 선택에 대한 기회비용은 어떻게 될까?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상관없다.

정답

① 증가한다.

 

 

4. 다음 중 경제학적으로 투자에 해당한다면 O , 그렇지 않다면 X를 표시하시오

  1. 현대자동차가 베트남 공장에 100억의 설비를 설치했다.   (      )
  2. 소설가 홍길동 씨가 소설 집필을 위해 볼펜을 샀다.   (      )
  3. 김철수가 현대전자가 발행하는 채권을 샀다.   (      )
  4. 영희가 주식시장에서 삼성전자 주식을 대량으로 매수했다.   (      )   

정답

1. O

2. O

3. X (채권 구매는 저축이다. )

4. X ( 주식 매수는 보통 그 회사에 직접 투자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보통 소비로 본다. )

 

 

5. 다음 행위가 경제학적으로 생산활동에 포함되면 O , 그렇지 않다면 X를 표시하시오

  1. 철수가 집에서 토마토를 키워서 직접 주스를 만들어 먹었다.   (      )
  2. 영민이가 우유 배달을 위해 우유를 보관하고 있다.   (      )
  3. 철수 선생님이 학교에서 사회 수업을 하고 있다.   (      )
  4. 햇살론 은행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돈을 대출해주었다.   (      )   
  5. 펀드매니저인 영수가 주식을 매매했다.   (      )   
  6. 함께 일하는 직원들이 퇴근 후에 회식을 하고 있다.   (      )   

정답

1. X( 시장에 거래되지 않았으므로 생산이 아니다. )

2. O

3. O

4. O

5. O

6. O

 

 

6. 생산활동의 주체는 누구일까?

  1. 정부
  2. 기업
  3. 가계
  4. 정부와 기업
  5. 정부, 가계, 그리고 기업

정답

② 기업

가계는 소비활동의 주체, 기업은 생산활동과 고용의 주체

 

 

7. 분배활동의 주체는 누구일까?

  1. 정부
  2. 기업
  3. 가계
  4. 정부와 기업
  5. 정부, 가계, 그리고 기업

정답

② 기업

기업은 생산요소를 제공한 가계에 분배를 한다. 정부는 재분배를 하는 것이다.

 

8. 과거 일본과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 등은 정부가 몇 개의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경제규모를 키우는 '계획적발전경제방식' 을 택하여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었다. 현재 수출 중심인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핵심으로,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가는 5대 산업은?

 

정답

반도체 ( 전자제품 ),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철강

 

9. 외계인 '빵까랑까랑' 은 종기접기나 동전치기 놀이 외에 실질적인 사용가치가 없는 '이것' 을 모으고 축적하기 위해 온종일 일하고, 싸움을 벌이고,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지구별 인간들을 도저히 이해하고 싶어도 이해할 수가 없었다.
실질적인 사용가치는 없지만 그 상품에 표시된 숫자만큼 교환가치를 가지는 이상품은 무엇이라고 할까?

 

정답

화폐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111~p1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