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스크랩

2022.07.27_경제신문스크랩

경제뉴스 스크랩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기사링크
[매일경제] 카카오 CEO도 놀랐다…카톡 오픈채팅 사용자 76% 쑥

- 카톡 사용량 최대 40%가 오픈채팅
 '고독한 BTS' '고독한 손석구' 등
 연예인 이미지 올리는 방 인기
 익명성·관심사로 끼리끼리 소통

- 남궁훈 대표 오픈채팅에 주력
 이르면 연말 별도 앱 출시할 듯

카카오 CEO도 놀랐다…카톡 오픈채팅 사용자 76% 쑥 - 매일경제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 선정 및 복사하기
(3분)

"테린이(테니스와 어린이를 합친 신조어)끼리 기죽지 말고 함께 연습해요." 최근 2030세대에서 테니스 인기가 높아지면서 카카오톡에는 '#테린이' 태그가 달린 오픈채팅방이 늘고 있다. 서울 부산 대구 등 지역별로 세분화돼 있다. 올해 테니스를 시작한 직장인 이 모씨(36)는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 지역·시간대를 올리면 카페나 블로그와 달리 실시간으로 답변이 달리기 때문에 연습 스케줄을 잡기 수월하다"고 말했다.

지인끼리 소통하는 메신저인 카카오톡이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이 아닌 관심사 기반 채팅 방식인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 이는 10% 수준이던 2018년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변화다.

오픈채팅은 카카오톡에서 같은 관심사를 지닌 사람끼리 채팅방을 만들어 대화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다. 카카오가 2015년 8월 선보였다. 카카오톡 일반채팅과 달리 전화번호나 아이디 등 이용자 친구 추가 절차 없이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공통의 관심사에 따라 소통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반의 익명 커뮤니티인 셈이다.

카카오에 따르면 올해 오픈채팅 사용자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전인 2019년 대비 76% 늘었다. 오픈채팅 수신·발신량도 같은 기간 78% 증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다른 사람과 필요 이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팬데믹 때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된 비대면 소통도 오픈채팅 사용자 유입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세대별 인기 주제를 보면 10대는 게임·팬덤, 20대는 학교·취업·뷰티·패션, 30대는 결혼·투자 등이었다. 특히 1020세대 사이에선 '고독한 에스파' '고독한 BTS' '고독한 손석구' 등 인물 관련 사진을 주로 올리는 이른바 '고독방'이 인기가 높다. 연예인이 오픈채팅방에서 팬들과 어울리는 깜짝 이벤트도 자주 열리고 있다.

카카오는 오픈채팅 기능을 강화해왔다. 지난 4월 오픈채팅방에서 최대 1500명까지 음성 대화를 즐길 수 있는 '보이스룸'을 도입했다. 또 자동응답 기능인 '방장(방 관리자)봇'과 채팅방 입장 조건 설정하기, 선물하기 기능 등을 추가했다.

지난 3월 카카오의 새 사령탑이 된 남궁훈 대표가 가장 먼저 주목한 것도 오픈채팅의 성장 잠재력이었다. 남궁 대표는 그간 집중해온 지인 기반 소통을 넘어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끼리 소통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해외에 진출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카카오 유니버스'라는 청사진을 내놨다. 그 첫 단추가 오픈채팅을 활용한 '오픈링크' 서비스다.

카카오 관계자는 "남궁훈·홍은택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하면서 남궁 대표는 사업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됐다"며 "남궁 대표의 개성 있는 리더십이 더해져 오픈링크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오픈채팅 활성화와 오픈링크 출시를 위한 개발자·기획자 등 전문인력을 대대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랫폼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르면 연말 오픈채팅을 카카오톡에서 떼어내 별도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메신저 플랫폼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 수익화를 시도하려면 카카오톡에서 독립하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카카오는 미국 플랫폼 디스코드를 참고하고 있다. 2015년 탄생한 디스코드는 서비스 초기엔 게이머를 위한 메신저였지만 일반 사용자는 취미와 관심사를, 개발자는 프로젝트를 공유하는 범용적인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디스코드 이용자는 전 세계 3억9000만명,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억6000만명에 달한다. 150억달러(약 19조7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황성기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오픈채팅은 익명성이 강조된다는 점에서 디지털 범죄나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특정 집단에 대한 증오 발언) 등에 악용되지 않도록 깔끔한 서비스 운영이 가능할지가 관건이며, 디스코드도 비슷한 과제를 안고 있다"면서 "사용자 규모가 억 단위로 늘어날 수 있는 만큼 보안성과 서버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도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수치화
-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이 아닌 관심사 기반 채팅 방식인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
- 이는 10% 수준이던 2018년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변화다.
- 카카오에 따르면 올해 오픈채팅 사용자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전인 2019년 대비 76% 늘었다.
- 오픈채팅 수신·발신량도 같은 기간 78% 증가했다.
- 지난 4월 오픈채팅방에서 최대 1500명까지 음성 대화를 즐길 수 있는 '보이스룸'을 도입했다.
- 디스코드 이용자는 전 세계 3억9000만명,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억6000만명에 달한다.
- 150억달러(약 19조7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인사이트
- 지인끼리 소통하는 메신저인 카카오톡이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카카오톡이란 무엇일까?
카카오톡이란 전세계 어디서나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 사용자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다.

- 오픈채팅이란 무엇일까?
오픈채팅은 카카오톡에서 같은 관심사를 지닌 사람끼리 채팅방을 만들어 대화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다.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의견 내용: 카카오톡 오픈채팅 보안에도 강화를...

주제 설명
  • 현안 
    현안 :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이 아닌 관심사 기반 채팅 방식인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

  • 제도, 사업의 장점, 단점 등 정리 
    제도 : 카카오톡에서 별도의 앱으로 분리시키려고 한다.
    장점 : 카카오톡 데이터가 오픈채팅에 의해 늘어나 있는 것이 없어진다.
    단점 : 카카오톡을 하면 할 수 있는 기능이었는데 또 다른 앱을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 적용방안 & 정리
    적용방안 & 정리 :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이 아닌 관심사 기반 채팅 방식인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고 한다. 그만큼 사람들은 카카오톡 오픈 채팅을 많이 한다. 사람들에게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오픈 채팅, 연말에 별도의 앱을 만든다고 한다. 그 앱을 만든다면 사람들이 많이 할지 미지수다. 그 이유는 카카오톡을 키면 부가적으로 오픈채팅이 되었는데 이제는 카카오톡에서 벗어나 다른 어플을 깔아야 한다는 것이고 개인정보를 동의를 해야 할 것이며 오픈채팅 같은 어플이 이미 시중에 많아서 걱정이 된다. 하지만 카카오톡이라는 회사에서 별도의 앱을 만드니 어떤 어플일지 궁금하다. 그 어플은 익명성이라 범죄 연루되기 쉽기에 보안성에 신경을 더 더욱 썻으면 좋겠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 연말에 별도의 앱을 만드신다면 그 앱 이름을 무엇으로 지으실 것이며 그 앱 기능은 무엇을 넣으실건가요?
- 보안성은 어떤 방식으로 신경을 쓰실건가요?
연관기사 링크 오픈채팅 명예훼손? 익명이라 변명해도 소용없는 이유.. - 국내 최초 명예훼손 전문 로펌 - 뉴로이어 법률사무소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29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7.30
2022.07.28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7.29
2022.07.26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7.26
2022.07.25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7.25
2022.07.24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