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4장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자 경제학 퀴즈

반응형

4장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자 경제학 퀴즈

경제학 퀴즈

 

1. 세계적인 경영학자인 김위찬과 르네 마보안 교수가 주창한 기업의 경영혁신 전략으로, 발상의 전환을 통해 경쟁자가 없는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 전략은 무엇인가?

 

2. 다음 중 강남 성형시장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가격경쟁보다는 서비스 경쟁이 치열하다.

② 의사들의 성형 솜씨는 거의 유사하다.

③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가 만족되는 시장이다.

④ 가격이 조금 비싸다는 평가를 받는다.

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비탄력적이다.


3. 영화 「뷰티폴 마인드」의 실제 주인공으로 과점시장을 분석하는 중요한 이론 체계 ( 게임이론 ) 을 정리한 수학자는?

① 존 내쉬

② 데이비드 리카도

③ 아이작 뉴턴

④ 칼 마르크스

⑤ 밀턴 프리드먼

 

4. 일부 기업들이 더 높은 이윤을 올리기 위해 시장 출하량을 일정하게 고정하기로 합의할 때, 각 기업에게 주어지는 '할당량' 을 뜻하는 이 단어는 무엇일까?

① 디바이디드

② 카르텔

③ 쿼터

④ 퀀터티

⑤ 포인트

 

정답 : 1. 블루오션 전략 2. ⑤ 강남 성형시장은 수요가 가격에 비탄력적이라고 볼 수 없다. 파격할인을 하면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다.     3. ①    4. ③

 

 

5. 코카콜라 시장이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운 이유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동네마다 편의점이 많고 편의점은 다 코카콜라를 판다.

② 편의점에서 파는 코카콜라 중 어느 콜라가 맛있을까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③ 편의점은 인위적으로 코카콜라를 비싸게 혹은 싸게 팔 수 없다.

④ 코카콜라의 병에는 성분이나 칼로리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붙어 있다.

⑤ 코카콜라에 치아를 집어넣으면 일정기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6. 기업의 생산량 결정에 대한 결정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① 기업은 평균수입과 평균비용이 같을 때까지 생산한다.

② 기업은 물건을 추가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이 증가하지 않을 때까지 생산한다.

③ 기업은 그 재화의 소비가 없어질 때까지 생산한다.

④ 기업은 한계수입이 한계비용보다 크다면 계속 생산한다.

 

7. 국제 원유 거래에서 가격 기준이 되는 원유는 크게 3가지다. 서부텍사스산 중질유 ( WTI ), 북해산 브렌트유, (    ) 등으로 생산지역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들이 기준유가 된 것은 생산량과 거래량이 많으면서도 생산이 독점되어 있지 않고, 가격 형성 과정이 투명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석유 도입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 원유는 무엇일까?

 

8. 선물시장 ( future market )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정답 : 5. ①, ②, ③, ④       6. ④      7. 두바이유     8. 현물시장

 

 

9. 1884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의 편집장인 찰스 다우 ( Charles H. Dow )가 처음 창안한 것이다. 누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 중에서 가장 신용 있고 안정된 30개 종목을 표본으로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주가지수로, DJIA 라고도 하는 이 지수의 이름은 무엇인가?

 

 

10. 다음 중 한국전력공사와 그 생산품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① 누구든 언제나 생산할 수 있다.

② 물 묻은 맨손으로 만져도 아무런 지장이 없는 상품이다.

③ 한국전력공사는 시장가격과 추가 비용을 고려하여 전기 생산량을 결정한다.

④ 단기적으로 초과이윤을 얻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유사 제품의 등장으로 초과이윤이 사라진다.

⑤ 전기에 대한 시장 수요가 곧 한국전력공사의 상품에 대한 수요다.

 

11. 다음 중 일반적으로 독점이 발생하는 요인이 다른 상품은?

① 전기     ② 온천     ③ 수도     ④ 카지노     ⑤ 담배

 

 

정답 : 9. 다우존스지수          10. ⑤          11.②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188~p18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