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스크랩

2025.05.17. 토 경제신문스크랩

반응형
경제뉴스 스크랩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기사링크
[한국경제] '국민 재테크' ETF…이젠 200조 시대

- 국내 ETF 순자산 198.3조
- 100조 돌파 2년 만에 두 배로
- 세계 11위…해외투자 상품 급증
- 수수료 저렴하고 거래도 편해


'국민 재테크' ETF…이젠 200조 시대 - 한국경제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 선정 및 복사하기
(3분)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2002년 출시 후 23년 만에 200조원 시대를 눈앞에 뒀다. 해외 투자 붐에 힘입어 ‘국민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기준 국내에 상장된 983개 ETF의 순자산 합계는 198조3202억원이었다. 2023년 7월 100조원을 돌파했는데, 2년도 안 돼 20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커졌다.

퇴직연금 시장이 급성장하며 내년 상반기 3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45%에 달하는 데다 최근 들어 순자산 증가세에 속도가 붙어서다. 한국 ETF 시장은 순자산 기준으로 세계 11위, 상품 수로 4위, 거래량으로 5위 규모다.

ETF 인기의 배경은 거래 편리성과 수수료 경쟁력으로 요약된다. 한 주 단위로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주식의 장점을 갖춘 데다 여러 종목이나 자산을 모은 펀드에 투자하는 방식이어서 변동성이 낮다. ETF 수수료(운용 보수)는 0.5% 내외로, 일반 펀드(1~3%)의 절반 이하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미·중 갈등 완화 등이 맞물리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높아진 점도 ETF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의 주요 지수뿐만 아니라 엔비디아 테슬라 등 특정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ETF가 속속 상장돼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영주 닐슨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다양한 ETF가 출시돼 일반투자자가 해외 상품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다”며 “퇴직연금 내 수수료가 저렴한 ETF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단기 투자를 유도하는 레버리지·인버스형 ETF나 과도한 테마형 ETF의 난립 등은 위험 요인이라는 지적이 많다.


◈ 용어 풀이

'상장'이란?
상장(上場)이란, 한자어 그대로 증권시장에 증권을 올려, 즉 발행·등록하여 그증권이 거래되도록 한다는 뜻, 쉽게 말해 상장은 기업이 공식적으로 유가증권시장 등 금융상품이 유통되는 시장에 등록해서,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이 자사 주식을 공개적으로 매매 및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 기사 내용의 수치화 --

-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2002년 출시 후 23년 만에 200조원 시대를 눈앞에 뒀다.
-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기준 국내에 상장된 983개 ETF의 순자산 합계는 198조3202억원이었다.
- 2023년 7월 100조원을 돌파했는데, 2년도 안 돼 20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커졌다.
- 퇴직연금 시장이 급성장하며 내년 상반기 3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45%에 달하는 데다 최근 들어 순자산 증가세에 속도가 붙어서다.
- 한국 ETF 시장은 순자산 기준으로 세계 11위, 상품 수로 4위, 거래량으로 5위 규모다.
- ETF 수수료(운용 보수)는 0.5% 내외로, 일반 펀드(1~3%)의 절반 이하다. 

-- 기사 내용의 인사이트 --

-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2002년 출시 후 23년 만에 200조원 시대를 눈앞에 뒀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궁금한 부분 서치

- 미·중 갈등이 무엇이 있었는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중 간 무역 갈등이 격화가 되었다. 
오피니언뉴스를 보면 12일 미국과 중국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한 고위급 화담을 마치고 90일간 상호 부과한 고율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이번 화담의 합의에 따라 미국은 대중 관세를 기존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90일간 낮추게 된다. 양국은 이후에도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이 30%로 낮아진 점은 기존 145%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인 점은 분명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의 관세라는 것이다. 또한 이는 90일간의 관세 유예일 뿐 향후 협상 과정에 따라 관세가 달라질 수 있고, 향후 의약품과 반도체, 구리 등에 대한 광범위한 부문별 관세 정책도 예고되고 있는 만큼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즉, 미·중 갈등에는 무역 갈등이 있었다. 무역 갈등에 앞서 관세가 문제가 됐다.
 

- 미·중 갈등 완화 등이 맞물리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정말 높아졌는가? 그 증거는 무엇인가?

전문가들이 말하길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이 예상보다 적어 주식 같은 위험자산으로 돈이 몰렸다고 지적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필자 생각으로는 미국 국채인 안전자산이 가격이 낮아지고 트럼프가 “지금 당장 나가서 주식을 사는 게 낫겠다”라는 발언을 함으로 인해 위험자산으로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한다.

- 기준 국내에 상장된  ETF 갯수는?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ETF는 983개다.

- 레버리지·인버스형 ETF, 테마형 ETF가 무엇인가?

레버리지 ETF는 일반 ETF가 코스피200과 같은 지수 내 대표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지수와 비슷한 수익률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데 비해 레버리지ETF는 선물 등 파생상품에 투자해 지수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ETF다. 레버리지/인버스란 수익률과 관련된 명칭이다. 이 두개의 ETF는 다른 배수로 수익률을 추구한다. 단기적인 시장전망에 따라 투자하기 적합한 상품이지만, 그만큼 투자함에 있어서 더욱더 신중해야 한다.
즉, 레버리지·인버스형 ETF는 수익률과 관련된 명칭으로 다른 ETF에 수익이 높다.

테마형 ETF란 테마형 ETF는 섹터(또는 업종) ETF와 유사한 특화(specialized) ETF의 한 종류로, 특정 주제(theme)나 트렌드(trend)와 연관된 자산으로 지수를 구성하여 추종하는 ETF를 말한다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3~5줄 이내)
&
나의 생각 + 적용 방안
(2줄 이상)

기사요약

-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2002년 출시 후 23년 만에 200조원 시대를 눈앞에 뒀다. 또한 내년 상반기에는 3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 나의 생각

    여기서 ETF의 인기 배경은 거래 편리성과 수수료 경쟁력을 꼽고 있다. 일반 펀드에 비해 ETF의 수수료는 현저히 낮다. 앞으로 ETF는 수수료의 싸움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수수료를 어떻게 낮춰야 할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다. 아니면 수수료는 그대로 두고 또 다른 혜택을 준다던지 다른 방안을 모색해야 할 듯 하다. 나는 ETF는 아직 잘 모른다. 경제에 대해 아직 공부하고 있기에 발행어음이나 RP 비교적 안전한 것부터 공부하고 있는 중이다. 나중에는 나도 ETF에 도전을 해봐야겠다. 그리고 여기서 미·중 갈등 완화로 인해 위험자산으로 몰리고 있다는데 조금은 조심하는 것이 어떨까 싶다. 장님이 코끼리에 한 부분만 만지고 아 코끼리는 이렇다 생각하는 것처럼 미·중 갈등 완화가 됐구나!  그럼 해결이 됐구나 라고 단편적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면 한다. 내가 찾아봤던 미·중 무역 협상 기사에서 보았듯이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안전자산에 돈을 묵혀두는 것이 어떨까 한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연관기사 링크
상장(上場) 제도란? | click 경제교육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651)
어피티 (https://uppity.co.kr/%EC%83%81%EC%9E%A5-%EA%B7%B8%EB%A0%87%EA%B2%8C-%EB%8C%80%EB%8B%A8%ED%95%9C-%EC%9D%BC%EC%9D%B4%EC%95%BC/)
'[미중 무역협상] ①한숨 돌린 세계 경제...침체 우려 떨쳐냈지만 ' 오피니언뉴스(http://www.opinionnews.co.kr)
'美 국채 가격 3개월 만에 최저...안전자산 선호 꺾일까?'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505151106214439)
‘안전자산→위험선호’ 움직임 포착…金 다음은 뭐?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stock/11312631)
미-중 관세 완화로 위험 자산 선호 증가 속 금값 안정세; CPI 대기 중 investing.com (https://kr.investing.com/news/commodities-news/article-1476343)
관세 갈등 완화 기대감에···코스피 모처럼 2600선 돌파 경향신문 (https://v.daum.net/v/20250512155422116)
대기업 직원도 '몰빵'…200조 몰린 '국민 재테크' 뭐길래 한국경제(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683641)
국내 ETF ‘200조 시대’ 눈앞…글로벌 증시 반등에 순자산 ‘쑥’ 데일리안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98671/)
국내 ETF 시장 200조 시대 열린다 문화일보 (https://www.munhwa.com/article/11506005)
[시사경제용어사전] 레버리지 ETF 기획재정부(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965)
레버리지 ETF | ETF 투자기초가이드 | Kodex (https://m.samsungfund.com/etf/insight/guide/view10.do)
삼성전자 '레버리지·인버스 ETF' 홍콩 증시 상장 조선일보(https://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5/05/15/TQNTHCOTZ5GETJ4N467Q2HSR2E/)
테마형 ETF의 성장과 위험요인 | 자본시장포커스 | 발간물 | 자본시장연구원 (https://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22&zcd=002001016&zno=1650&cno=5883)
ETF란? 한국투자증권(https://www.truefriend.com/main/customer/tradetransfer/_static/TF04da070000.shtm)
전문가가 추천하는 ETF 테마, OOO가 핫하다 [올똑투]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0353

 



※ 이 글은 경제공부를 위해 적는 글입니다. 저의 생각을 그대로 믿는 분이 없기를 바라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 글을 씁니다. 아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구나 하는 마음으로 봐주시길 바라며 저는 주식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또한 종목을 추천하지 않으며 투자 추천도 받지 않습니다. 금전 요구도 하지 않습니다.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
저는 주식 투자 권유하지 않고 추천도 받지 않습니다. 그냥 아 이렇게 생각하구나 하는 마음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