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스크랩

2022.08.07_경제신문스크랩

경제뉴스 스크랩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기사링크
[한국경제] 임금은 올리라면서…은행노조 "코로나 단축영업 계속하라" 압박

- 금융노조, 19일 파업 투표

- 오전 9시~오후 4시 영업시간
 작년 거리두기로 1시간 단축
 4월 방역조치는 풀렸지만
 노조 반대로 원상복구 안돼

- 주 36시간 근무제 도입에다
 임금인상률도 6.1% 제시

- "횡령 등 금융사고 잇따르는데
 귀족노조 무리한 요구 계속" 비판

임금은 올리라면서…은행노조 "코로나 단축영업 계속하라" 압박 - 한국경제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 선정 및 복사하기
(3분)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임금 6.1% 인상과 지점 영업시간 단축 유지 등을 요구하며 다음달 파업을 예고했다. 서울의 한 은행 지점 입구에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영업시간을 1시간 단축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허문찬 기자

서울 역삼동에서 일하는 직장인 최모씨는 5일 오전 9시 대출 상담을 받으러 근처 은행 지점을 찾았다가 발걸음을 돌렸다. ‘코로나19로 영업시간을 한 시간 단축한다’는 안내문엔 오전 9시30분에 문을 연다고 적혀 있었다. 최씨는 “식당 영업시간 제한도 풀리고 기업도 재택근무를 없앴는데 은행만 영업시간을 줄이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연봉도 높은 은행원들만 편하게 일하는 것 같다”고 했다.

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큰 폭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금융 소비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식당 영업시간과 지하철 운행시간 등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돌아왔지만 은행만은 예외여서다.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은행원들이 소비자의 불편은 외면하면서 임금 인상만 요구하는 등 자기 잇속만 챙긴다는 비판이 나온다.



○ 은행만 거리두기 해제 예외

금융노조는 임금 6.1% 인상과 함께 지점 영업시간 단축 유지를 요구하고 있다. 원래 은행 지점 영업시간은 오전 9시~오후 4시였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지난해 7월부터 오전 9시30분~오후 3시30분으로 1시간 단축됐다. 금융노조와 사측은 당시 영업시간 단축을 2주 동안 시행하되 3단계 이상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면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4월부턴 은행 영업시간이 원상복구돼야 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노사가 합의해야만 영업시간을 되돌리는 것으로 조건이 바뀌었다. 금융노조가 임단협에서 ‘코로나 방역 지침이 해제된 경우 교섭을 통해서만 영업시간 단축을 조정할 수 있다’는 조항을 합의서에 추가하면서다. 직장인, 자영업자는 물론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노년층은 영업시간 단축으로 은행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 사회적 눈높이 벗어난 인상 요구

금융노조가 요구하는 주 36시간(4.5일) 근무도 금융 소비자의 불편을 초래할 것이란 비판이 나온다. 근무시간이 줄어들면 지점 직원이 감소해 고객 대기 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영업점 폐쇄 금지도 금융산업의 현실을 무시한 주장이란 지적이다. 금융 소비자가 모바일 뱅킹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은행 지점은 5년 전 7101개에서 지난해 말 6094개로 1000개 넘게 줄었다.

연봉이 높아 ‘귀족노조’로 불리는 금융노조가 사회적 눈높이에 맞지 않는 임금 인상을 요구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금융노조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률(6.1%)은 올해 공무원 임금 인상률(1.4%)은 물론 상반기 100인 이상 사업체의 평균 협약 임금 인상률(5.3%)을 웃돈다. 최근 5년간 금융노조 평균 임금 인상률(2.2%)과 비교해서도 높은 편이다. 산업은행(1억1370만원)과 국민은행(1억1200만원) 등 주요 시중·국책은행의 작년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만큼 인상액도 클 수밖에 없다.

은행원들이 ‘억대 연봉 잔치’를 벌이는 동안 서민과 자영업자는 대출금리 상승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국내 은행의 평균 가계대출 금리는 연 4.23%였다. 1년 전(2.92%)보다 1.31%포인트 뛰었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가면 금융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올 들어 수백억원 횡령 사건과 수조원대 이상 외화송금 등 잇따른 사고로 은행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어서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수치화
- 금융노조는 임금 6.1% 인상과 함께 지점 영업시간 단축 유지를 요구하고 있다.
- 금융 소비자가 모바일 뱅킹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은행 지점은 5년 전 7101개에서 지난해 말 6094개로 1000개 넘게 줄었다.
- 금융노조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률(6.1%)은 올해 공무원 임금 인상률(1.4%)은 물론 상반기 100인 이상 사업체의 평균 협약 임금 인상률(5.3%)을 웃돈다.
- 최근 5년간 금융노조 평균 임금 인상률(2.2%)과 비교해서도 높은 편이다.
- 산업은행(1억1370만원)과 국민은행(1억1200만원) 등 주요 시중·국책은행의 작년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만큼 인상액도 클 수밖에 없다.
-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국내 은행의 평균 가계대출 금리는 연 4.23%였다. 1년 전(2.92%)보다 1.31%포인트 뛰었다.

인사이트
- 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큰 폭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금융 소비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가면 금융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올 들어 수백억원 횡령 사건과 수조원대 이상 외화송금 등 잇따른 사고로 은행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어서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어떠한 곳인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즉, 금융노조는 대한민국 금융산업을 대표하는 단일 산별노조다. 전국의 모든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국책은행을 포괄하고 있으며 국책금융기관, 협동조합, 금융유관기관 등 한국 금융산업을 지탱하는 금융기관의 노동자들이 조직돼 있다.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의견 내용 : 갑자기 파업하겠다는 노조가 많아졌다.

주제 설명
  • 현안 
    현안 : 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큰 폭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했다.

  • 제도, 사업의 장점, 단점 등 정리 
    제도 : 시중 은행 노조들이 파업을 하게 된다.
    장점 : 딱히 없다.
    단점 : 은행을 이용해야 하는 직장인들 등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 적용방안 & 정리
    적용방안 & 정리 : 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큰 폭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했다. 만약에 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파업을 한다면 은행을 이용해야 하는 직장인, 자영업자 등 많이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또한 파업을 하는 동안 피해 금액은 누가 보상을 할것인가도 생각해봐야 한다. 시중은행에서 은행원 월급, 연봉을 보면 초봉도 많이 받는다. 그런데 연봉을 올린다는 말은 조금 의아하다. 하지만 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들의 말도 들어보고 이런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들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입장도 나름대로 있을테니 말이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 금융 노조가 총 파업을 해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 주 36시간(4.5일) 근무와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 노조들이 요즘 많이 파업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연관기사 링크 은행별 연봉 월급 초봉 총정리 ( 은행 직원 연봉) - by 생각을 자유롭게 경제적 자유를 위해 (0원에서 1000억 부자로의 여행)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 금융노조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9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8.10
2022.08.08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8.09
2022.08.06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8.07
2022.08.05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8.07
2022.08.04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