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스크랩

2022.05.27_경제신문스크랩

경제뉴스 스크랩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기사링크
[매일경제]대법 위법 판단에 혼선 커진 임금피크제…재계 "줄소송 이어질라"

- 대법, 임금피크제 위법 논란

- 기업별로 적용 현황 다르고
- 판결도 '일부'로 판단했지만
- 노사간 소송대란 가능성 커져

- '임피' 시행 7만6500여곳 비상

대법 위법 판단에 혼선 커진 임금피크제…재계 "줄소송 이어질라" - 매일경제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 선정 및 복사하기
(3분)


"대법원의 임금피크제 무효 판결로 단기적으로는 노사 분쟁 등 혼란이 걱정되며 장기적으로는 청년 고용 위축까지 우려됩니다."

대법원이 26일 "합리적 이유 없는 임금피크제는 무효이며 연령 차별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린 데 대해 모 대기업 고위 관계자는 한숨부터 내쉬었다. 재계는 표면적으로는 "기업별로 임금피크제 적용 현황이 다르고 대법 판결이 모든 임금피크제가 무효라는 취지로 판단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당장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향후 소송 리스크 등 후폭풍이 커질 가능성이 있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후속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최근 노동계에서 임금피크제 폐지를 주장하는 한편 연령별로 국민연금 수급 시기와 연계해 정년을 늘려달라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판결로 임금피크제가 무효화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기업에 대한 이 같은 노조의 요구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김용춘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정책팀장은 "임금피크제와 관련한 첫 대법원 판결이 도입 취지와 반대로 나와 아쉽다"며 "대법원이 개별 사안마다 해석의 여지가 다를 수 있다고 밝혔음에도 첫 판결을 확대 해석해 노조발 소송 대란이 벌어질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임금피크제 도입 취지는 장년층이 일정 연한에 달할 경우 임금을 다소 깎는 대신 정년을 보장해 주자는 데 있다. 아울러 고용이 보장된 장년층이 양보한 임금을 바탕으로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의 신규 채용을 늘리는 데 의의가 있다. 그간 우리 기업 노사는 이 같은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임금피크제를 2003년 이래 순차적으로 도입해왔다. 특히 사업체 정년이 2016년 기존 만 57세에서 만 60세로 늘어남에 따라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이 급격히 늘어났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전체 정년제 운영 사업체(34만7422곳) 중 22%인 7만6507곳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정년이 늘어난 2016년을 전후한 2015~2017년 3년 새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이 중 69%인 5만2846곳에 달한다.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최초 임금 감액 연령은 전 산업 평균 56.8세로 연장 전 정년인 57세와 비슷하다. 기존에는 실업자 처지에 놓였을 57세 이후 장년층이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고용 연장 효과를 누려 왔다.

특히 한국은 연공서열식 호봉제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정년을 앞둔 장년층이 고임금을 받아 전체 노동생산성을 끌어내렸다. 강석구 대한상공회의소 조사본부장은 "임금피크제는 연공급제에서 불가피한 조치였음에도 이를 무효화하면 청년 일자리, 중장년 고용 불안 등 정년 연장 부작용이 심각해질 것"이라며 "임금피크제를 의무화하는 고령자고용촉진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장기적으로 임금피크제와 관련해 법적 위험을 피하기 위해 기업들이 사회적 요구인 정년 연장은 거부하고 되레 장년층에 대해 임금피크제 연한 진입 전 선제적 구조조정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된다. 특히 중장년층의 이익을 주로 대변하는 노조의 무리한 요구로 채용시장에서 청년층이 소외돼 세대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까지 열려 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향후 관련 재판에서는 임금피크제가 갖는 순기능인 고령자 고용 안정과 청년 일자리 기회 확대 등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신중한 해석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중견·중소기업계는 정부의 적극적인 권고에 따라 최근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가 되레 역효과를 맞게 됐다며 울상이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내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불황과 거세지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임금피크제와 관련한 혼선이 기업의 추가적인 임금 부담과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지 않도록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견련은 이어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본 요소인 산업 전반의 생산성 제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효율적인 방책으로 임금피크제를 확대·개선하는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수치화
-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전체 정년제 운영 사업체(34만7422곳) 중 22%인 7만6507곳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 정년이 늘어난 2016년을 전후한 2015~2017년 3년 새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이 중 69%인 5만2846곳에 달한다. 

인사이트
- 임금피크제 도입 취지는 장년층이 일정 연한에 달할 경우 임금을 다소 깎는 대신 정년을 보장해 주자는 데 있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임금피크제란?
 임금피크제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일정연령 이상까지 고용을 보장ㆍ연장하는 조건으로 임금을 조정하는 제도다.

- 임금피크제를 도입함으로 얻는 것은?
 임금피크제를 도입함으로 얻는 이득은 퇴직을 앞둔 근로자는 정년을 보장받고 기업은 절감한 인건비로 신규 직원을 더 채용할 수 있게 된다. 고용연장과 일자리 창출 두 가지를 얻을 수 있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곳이 얼마나 있나?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곳은 공공기관으로 따지자면 24곳이 도입을 했다. 민간기업은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 378개 가운데 177개사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의견 내용  : 좋은 취지인데 아쉬워...

주제 설명
  • 현안 
    현안 : 임금피크제에 대한 제도를 대법원에서 무효 판결을 내렸다.
  • 사업의 장점, 단점 등 정리 
    장점 : 임금피크제를 도입함으로 얻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단점 : 퇴직을 앞둔 근로자의 돈을 조정한다고 받아들일 수 있어서 반발할 수 있다.
  • 적용방안 & 정리
    적용방안 & 정리 : '임금피크제'란 제도를 26일 대법원이 판결을 무효로 내렸다. 대법원의 입장은 합리적 이유 없는 임금피크제는 무효이며 연령 차별에 해당한다는 이유였다. '임금피크제'라는 제도는 좋은 취지로 만들어진 제도다. '임금피크제'라는 제도가 잘 되면 좋은 취지에 맞게 고용연장과 일자리 창출 두 가지를 얻어갈 수 있다. 하지만 대법원 말대로 나이가 들면 임금을 깍는 것이 말이 안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것 또한 차별이라고 느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동의를 하지만 그런 제도가 아직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는 것에 아쉬움이 남는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 임금피크제란 제도를 어디서 처음 시행되었나요?
- 임금피크제가 공공기관 말고 다른 기관에서도 시행이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 대법원의 임금피크제 무효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연관기사 링크 & 출처 임금피크제, 사실은 이렇습니다 - KDI 경제정보센터
고용부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 모두 무효 아냐” - SBS Biz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29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5.30
2022.05.28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5.29
2022.05.26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5.26
2022.05.25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5.25
2022.05.24_경제신문스크랩  (0) 202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