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12장 국제경제의 흐름을 읽어보자 경제학 센스 퀴즈

반응형

12장 국제경제의 흐름을 읽어보자 경제학 퀴즈

경제학 퀴즈

 

1. 미국은 1980년대 초반 대규모 재정적자와 경상수지 적자를 동시에 겪었다. 2000년대 이후 다시 두 적자의 폭이 커지자 새롭게 각광받는 이 용어는 무엇인가?

① 더블 적자     ② 쌍둥이 적자     ③ 재정적자     ④ 배팅 적자     ⑤ 코인 적자

 

2. 2008년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하면서 과자, 빵, 라면 등 식료품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농산물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나타내는 이 용어는 무엇일까?

 

3.관광과 같은 서비스 상품의 교역을 통해서 발생하는 무역수지를 '서비스수지라고 한다. 세계 최 대 서비스수지 흑자국은 어디일까?

① 스위스    프랑스    ③ 미국    독일    일본

 

4. 칠레산 포도, 와인을 마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와 칠레 간 무역협정을 맺었기 때문이다. 조약 당사국 간의 자유무역을 보장하는 이 협정을 영어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5. EU는 유럽 간 정치경제 공동체이다. 특히 경제적으로는 유로화 사용, 관세 철폐 등 자유무역을 주도하고 있다. 2015년 현재 27개국이 가입해 있는데, EU 가입국이 아닌 것은?

 

노르웨이      그리스     ③ 벨기에      루마니아      체코

 

 

*원/엔 환율은 계속 오르고, 원/달러 환율은 계속 내린다고 가정하고, 6~14번 물음에 답하시오.

 

6. 엔화로 표시된 외채의 상환은 (빨리 해야 이득이다, 나중에 하는 것이 이득이다.)


7. 미국 출장에서 남은 달러는 (빨리 환전해야 이득이다. 장병에 묵혀 두어야 이득이다.)

 

정답

1. ②
2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산물을 의미하는 agriculture와 inflation의 합성어
3.③

4. FTA(Free Trade Agreement) .

5. ① 노르웨이는 어획 쿼터제가 자국의 주요 산업인 어업에 악영향을 줄까 우려해 가입하지 않았다.

6. 엔화 가치가 오르고 있으므로 엔화 표시 외채는 빨리 갚는 게 옳다. 시간이 갈수록 치러야 할 대금이 늘어난다.

7. 원/달러 환율이 계속 내리면, 주머니 속의 달러화를 빨리 환전해야 원화로 더 많이 바꿀 수 있다.

 

--------------------------------------------------------------------------------------------------------------

 

8. 결혼 25주년 기념 일본 여행은 (하루라도 빨리 가야 한다 하루라도 미루어야 이득이다.)


9. 미국에서 수입한 자동차의 잔금은(빨리 결제해야 이득이다. 천천히 결제해야 이득이다.)


10. 미국 여행객은(늘어난다. 줄어든다.)


11. 미국으로 가는 유학생은(늘어난다, 줄어든다.)


12. 대일 수출은(증가한다 감소한다.)


13. 일본에서 부품을 수입해 한국에서 조립 후,완성품을 미국에 파는 이는 (대박난다. 쪽박찬다.)


14. 미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한국에서 조립한 후, 완성품을 일본에 파는 사람은 (대박난다. 쪽박찬다.)


15. 각국에서 파는 맥도날드 햄버거의 질은 같으나 가격이 다른 것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지수로,실질적인 구매력을 측정하는 이 지수의이름은?


16. 이 용어는 '2008년 증권가에서 가장 유행한 단어'라는 별명이 붙으며, 일반인들과도 친숙한 단어가 되었다.장중 주가가 너무오르거나 낮아진 경우, 과열된 투자자들에게 한숨 돌릴 시간을 주기 위해 일정시간 동안 거래를 중지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하는가?


정답
8. 원/엔 환율이 계속 오르므로 하루라도 빨리 일본 여행을 가는것이좋다.

9. 원/달러환율이 계속 내리는경우, 달러 잔금은 천천히 치를수록 이익이다.

10. 원화 가치는 오르고 달러 가치가 떨어지므로 미국 여행객은 늘어난다.

11. 미국으로 가는 유학생도 늘어난다.
12. 원/엔 환율이 오르면 우리 상품의 가격경쟁력이 생겨 대일 수출이 늘어난다.

13. 화폐가치기 높은 일본에서 수입하면 환차손이 생기고, 또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미국으로 수출하면 한번 더 환차손이 생겨 쪽박을 차게 된다.

14. 위와 반대의 논리로 양쪽에서 환치익이 생겨 대박이 난다.

15. 빅맥지수

16. 사이드카

 

--------------------------------------------------------------------------------------------------------------

 

17. 1990년대 일본은 경계성장이 거의 없었으며, 투자도 없고, 따라서 금리도 0%에 가까있다. 일본에서 저금리 대출을 받아 수익성이 높은 나라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18. 2008년 하반기 우리나라는 환율이 급등하자 미국, 일본과 이 협정을 맺어 달러와 엔화를 조달하였다. 대규모의 외화를 빌려오는 것과 비숫한 효과를 가진 국가 간의 상호협정은?

통화 체인지      외환스왑     ③ 통화 스왑      외환 체인지      FTA

19. 1992년 영국 파운드화에 대한 대규모 매도 주문으로, 파운드화의 가치를 유지하려던 영국은행을 좌절시키며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헤지펀드 투자자는?

빌게이츠       조지소로스      ③ 워렌버핏     퀸텀 베이슨       짐 로저스

20. 2015년 7월 현재 우리나라는 11개의 FTA가 이미 발효되었고, 4개의 FTA는 타결되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당시 우리나라와 이미 FTA를 맺은 국가를 모두 고르시오.

일본        싱가포르      ③ 스위스      인도       중국     ⑥ 미국

 

21. 멕시코의 아름다운 휴양지로, 농산물 개방과 관련해 2005년 WTO의 협상이 이루어진 곳이다.
자유무역과 농산물 개방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곳은 어디일까?

멕시코시티         알라모       ③ 뉴멕시코시티      칸쿤        밀앙

 

22. 세계경제포럼(WEF; Word Economy Forum) 연차 총회로, 최근 들어 세계적인 저명인사들이 대거 이 포럼에 참석하고, 경제 외에 정치 ㆍ사회 문제에 대한 처방과 대안을 제시하는 자리로 바뀌면서 개별 국가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는 국제회의의 성격이 강해졌다. 1982년부터 열리기 시작했으며, 일주일간 주요 인사의 연설과 분야별 토론, 사교모임 등의 행사가 이어진다. 참석자
격에 제한을 두고 있는데, 기업은 최소한 연간 7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연회비 1만 3,000달러를 납부해야 한다. 스위스의 지명을 딴 이 포럼의 이름은 무엇인가?

 

정답
17. 엔 캐리 트레이드
18. ③

19. ②

20. ②, ④, ⑥ 20015년 7월 현재 일본, 스위스, 중국과는 FTA가 발표중이 아니다. 중국은 아직 가서명 상태였다.

21. ④
22. 다보스 포럼(Davos Foru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