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11장 가계와 기업을 살펴보자 경제학 센스 퀴즈

반응형

11장 가계와 기업을 살펴보자 경제학 퀴즈

경제학 퀴즈

 

1. 철수네 집은 홍수로 큰 재산피해를 입어서 정부로부터 구호금을 매달 100만원씩 지원받게 되었다. 이 구호금은 다음 중 어떤 소득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

① 사업소득     ② 재산소득     ③ 이전소득     ④ 무상소득     ⑤ 비생산소득

 

2. 프로그래머인 길동 씨는 지난 7년 동안 모 IT기업에서 일을 하다가 유학을 결심하고 얼마 전에 퇴직했다. 일반적으로 월급쟁이들이 받는 소득을 근로소득이라고 하는데, 길동 씨가 받은 퇴직금은 근로소득에 포함이 될까?

① 포함 된다.     ② 포함되지 않된다.

 

3. 경찰관으로 일하고 있던 영희 씨는 로또 1등에 당첨되어 18억원을 받았다. 영희 씨는 무슨 소득이 갑자기 증가하게 된 것일까?

① 비경상소득     ② 사업소득     ③ 재산소득     ④ 이전소득     ⑤ 무상소득

 

4. A사는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얻기 위해 독재국가에 군사지원을 하고, 커피 노동자를 착취한다. A 사의 커피를 사 먹는 철수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합리적 소비를 한 것일까?

① 합리적 소비를 했다.     ② 비합리적 소비를 했다.

 

정답 :

1. ③ 이전소득은 생산에 참여하지 않고 무상으로 얻은 소득

2. ② 근로소득은 일정한 기간에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다.

3. ① 퇴직금, 복권당첨금 등은 일상적으로 받는 소득이 아니므로 비경상소득이다.

4. ①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얻으면 합리적인 소비, 합리적인 소비와 바람직한 소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5.  스노브 효과란 '자신은 남과 다르다'는 차별성을 가지고자 하는 심리가 작용하는 효과다. 다른 사람과 반대 방향으로 소비하거나 좀 튀어 보이려는 것을 말한다. 이는 어떤 동물의 행위를 빗댄 용어인데, 그 동물은 무엇인가?

① 고슴도치     ② 백조     ③ 잉어     ④ 아메바     ⑤ 공작

 

6. 이 경제학자는 『유한계급론』이라는 저서에서 타인에게 부를 과시하기 위한 욕구가 소비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리를 폈다. '속물효과' 를 통해 소비의 계급성을 강조한 이 사회경제학자의 이름은 무엇인가?

① 랜드마크     ② 스터드     ③ 홀덤     ④ 베블런     ⑤ 바카러

 

7. 「꽃보다 남자」의 F4 구준표의 인기가 높자, '구준표의 헤어스타일'을 따라하려는 남자들이 많아졌다. 남들이 하니 나도 한다는 식의 의사결정 과정을 초래하는 효과를 말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무작정 뒤따르면서 군중들이 불어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는?

 

8. 다음 중 주식회사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소유와 경영의 분리

② 주식 발행을 통한 대규모 자본 조달

③ 유한 책임제도를 통한 위험 분산

④ 투자금에 다른 배당제도

⑤ 주식수에 따른 의사결정

 

정답 :

5. ②

6. ④

7. 밴드왜건 효과 ( 편승효과 )

8. ⑤ 주식회사의 의사결정은 주주의 권한을 위임받은 이사회를 통해서 결정된다.

 

 

9. 『하멜 표류기』로 유명한 하멜은 이 회사의 직원이었다고 한다. 1602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근대화 주식회사'는 다음 중 무엇일까?

① 마이크로소프트

② 동인도회사

③ 서인도회사

④ 남인도회사

⑤ 동양척식주식회사


10. 역저 『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 (Capitalism, Socialism, Democracy)를 출판하였으며, 혁신이론
을 통해 자본주의의 붕괴 가능성을 예견한 경제학자는?

 

① 다니엘 헤이     ② 베블런     ③ 코즈     ④ 솜페터     ⑤ 칼 마르크스

 

11.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는 기업가들에게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가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다. 기업들은 혁신'을 통해 이 위기를 벗어나고자 한다. A~ E 기업 중 '혁신' 을 했다고볼 수 없는 것은?

① A기업은 주력업종을 정보통신 분야로 바꾸었다.
② B 기업은 경쟁회사들이 진출하지 않았던 해외시장 개척에 주력하였다.
C 기업은 수요가 늘어나자 공장을 확장하여 생산량을 늘렸다.
D 기업은 비산 원자재를 대신하는 신소재를 개발하여 비용절감에 성공하였다.
⑤ E기업은 보수체게를 성과급제로 바꾸어 사원들이 더 열심히 일하고 창의력을 발휘하여 생산성이 높아졌다.

 

정답 :

9. ②

10. ④

11. ③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380~p33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