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화폐와 금융을 알아보자 경제학 퀴즈
경제학 퀴즈
1. 금은 외환 보유고일까?
① 외환보유고다. ② 외환보유고가 아니다.
2. 신용카드는 화폐일까?
① 화폐다. ② 화폐가 아니다.
3. 국가적인 행사가 있을 때 국가는 기념주화를 발행한다. 우리나라도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게임 때 기념주화를 발행했다. 기념주화를 거래에 이용할 수 있을까?
① 있다. ② 없다.
4. 우리나라는 은본위제가 실시된 적이 있을까?
① 있다. ② 없다.
5. 소재의 가치가 서로 다른 화폐가 동일한 명목가치를 가진 화폐로 통용되면, 소재 가치가 높은 화폐 ( good money ) 는 유통시장에서 사라지고 낮은 화폐 ( bed money ) 만 유통되는 현상을 일컫는 법칙이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이 법칙은 무엇일까?
① 레몽의 법칙 ② 원의 법칙 ③ 샤토의 법칙 ④ 베네치안의 법칙 ⑤ 그레샴의 법칙
6. 흥성대원군은 세도정치 60여 년 동안 추락한 왕실의 위엄을 되살리고자 경복궁 중건사업을 벌이게 되었으나, 막대한 재정부족을 겪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당시 화폐인 상평통보의 100배 가치를 가지는 화폐를 발행하였다. 그 화폐의 이름은?
정답 :
1. ① 외환보유고는 달러뿐만 아니라 외국환 ( 엔, 유로 ), 금도 포함된다.
2. ② 신용카드는 결제를 일정기간 미루는 외상수단으로 화폐로 분류하지 않는다. 통화량 계산에도 빠진다.
3. ① 아시안게임 때 발행했던 3만원 기념주화는 순금 1온스로, 금으로 녹이기만 해도 40만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
4. ① 3일 천하로 끝나긴 했지만, 갑신정변 당시 개혁 강령에 은본위제가 있었다.
5. ⑤
6. 당백전
7.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경제질서를 재편하기 위해 미국이 주축이 되어 출범한 체제이다. 달러 가치를 금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고(1온스당 35달러), 다른 나라들은 달러를 기준으로 고정환율제(변동폭 상하 1% 이내)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 체제의 이름은?
① 멕시코시티 체제 ② 사우스 다이아몬드 체제 ③ 유네스코 블록 체제 ④ 브레턴우즈 체제 ⑤ 마스코티퍼 체제
8. 1971년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재정적자 확대 등을 이유로, 달러를 금으로 교환해 주겠다던 브레턴우즈 협정을 파기해 버린 미국의 대통령은 누구인가?
① 포드 ② 카터 ③ 닉슨 ④ 레이건 ⑤ 오바마
9. 다음에 들어갈 한 글자를 쓰시오.
( )본위제의 장점으로는 다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 )본위제는 과도한 지폐 발행으로 물가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 정부나 은행의 힘을 제한한다. 둘째, ( )본위제에서는 각국이 고정 환율제를 채택해 국제무역에 명확성이 부여된다.
10. 한국은행과 거래하는 기관을 모두 고르시오
① 정부 ② 기업 ③ 공기업 ④ 시중은행 ⑤ 개인
11. 2015년 8월 현재 한국은행이 정한 기준금리는 1.5%이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 총재가 아니라 이 위원회에서 결정한다. 통화 신용정책을 수립하고 한국은행 운영에 관한 주요 사항을 결정하 는 정책결정 기구는 무엇일까?
정답 :
7. ④
8. ③
9.금
10. ①, ④ 한국은행은 은행의 은행이자 정부의 은행이다.
11. 금융통화위원회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353~p354
'책읽기 > 경제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적 소비 vs 비합리적 소비: 경제학으로 알아보는 스마트한 소비 전략 (1) | 2025.05.05 |
---|---|
📌 요즘 사람들의 수입은 어떻게 구성될까? — 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 완전 정리 (5) | 2025.05.04 |
중앙은행은 왜 필요할까? 일반은행과의 차이부터 경제 속 역할까지 쉽게 정리! (1) | 2025.05.02 |
💵 화폐의 진화와 달러의 지배: 자본주의를 만든 돈의 역사 (1) | 2025.05.01 |
화폐의 탄생과 기능: 원시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화폐 이야기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