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 경제파악 2 - 국민소득과 경제성장률 지표의 안쪽
8장 경제학 퀴즈
1. 다음 중 GDP에 들어가는 것을 모누 고르시오.
① 교통사고를 처리한 청소용역 업재의수입
② 성형수술 한 의사의 수입
③ 암시장에서 매매된 금괴 판매상의 수입
④ 어머니가 파출부로 나가서 빨래하고 번 수입
⑤ 올해 주식시장에서 상승한 시가총액
⑥ 올해 상승한 부동산 가치 평가액
⑦ 매연저감 장치를 개발해서 판매한 회사의 수입
2. 다음 중 2014년 기준 우리나라보다 경제규모가 작은 나라를 모두 고르시오
① 호주 ② 캐나다 ③ 브라질 ④ 인도 ⑤ 멕시코
3. "경제성장률이 3%임에도 불구하고, 국민 체감GDP인( )는-1%"
이것은 국민소득의 3가지 측면 중에서 지출을 강조한 것으로,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기간생산출 동에 참여하여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이다. 실질적인 국민소득을 측정하기 위해 교역조건의 변 를 반영하고 실질무역손익을 나타내는 것으로, 체감 GDP라고 불리는 이 지표는?
① GNP ② GOP ③ GNI ④ NNP ⑤ NPI
4. 영철 씨는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구하려고 한다. 다음 중 필요한 자료를 모두 구하시오
① 올해 명목GDP ② 전년도 명목GDP ③ 올해 실질GDP ④ 전년도 실질GDP ⑤ 소비자물가 상승률
5. 경제성장률, 실업률, 수출입 등과 같이 객관적인 통계로 평가한 경기를 '지표경기라고 하고기 업경기실사지수(BSI), 소비자동향지수(CSI)처럼 사람들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고 느끼는 경기를보 여주는것을( ) 경기지표'라고 한다.
정답
1.① , ②, ⑦ GDP에 선정되는 품목은 반드시 시장을 통과해야 하며, 자산의 가치는 평가하지 않는다.
2. ① , ⑤
3. ③ GN는 원자재 가격이나 환율 등락까지 반영한 실질 국민총소득이다.
4. ③, ④ 경제성장률 = (금년 실질CDP전년 실질GDP) / 전년 실질GDPx100
5. 체감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296
'책읽기 > 경제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완전정복: 정의·원인·영향·대응 총정리 (1) | 2025.04.26 |
---|---|
공식 물가와 체감 물가의 차이 : 다양한 물가지수의 이해와 해석 방법 (2) | 2025.04.25 |
실질소득 변화의 척도, GDI와 GNI 이해하기 (1) | 2025.04.23 |
📌 GDP와 GNP의 차이, 그리고 한계점까지 한 번에 정리하기 (0) | 2025.04.22 |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7장 경제 파악 1 - 소득분배 지표의 안쪽 경제학 센스 퀴즈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