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경제 파악 1 - 소득분배 지표의 안쪽 경제학 퀴즈
경제학 퀴즈
1. 편의점에서 최저임금을 받으며 아르바이트를 하는 길동은 한 달 수입을 거의 식료품비로 소비한다. 반면 철수는 소득에서 차지하는 식료품비의 비중이 매우 작고 문화생활비를 많이 지출한다. 저소득층일수록 가계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무슨 법칙이라고 하는가?
2. 2004년 기준으로 미국에는 약 3,700만 명의 빈곤층이 있다. 이는 미국 총인구의 약 12.7%인데, 빈곤율이 가장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차례대로 쓰시오.
① 백인집단
② 흑인집단
③ 남미계집단
④ 남편 없는 여성 가장 집단
⑤ 결혼한 가구 집단
3.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이 곡선과 대각선 사이의 면적의 크기로 나타낸다. 가로축은 소득 하위층부터 상위층으로 누적 백분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소득금액의 누적백분비를 나타냄으로써 얻어지는 이 곡선의 이름은 무엇인가?
4. 다음 중 지니계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어디인가?
① 일본 ② 호주 ③ 미국 ④ 중국 ⑤ 스웨덴
5. 소비세 중 하나로 사치품에 붙은 세금은 무엇인가?
정답 : 1. 엥겔의 법칙 2. ④ 빈곤율이 가장 높은 집단, ⑤ 빈곤율이 가장 낮은 집단 3. 로렌츠 곡선 4. ① 5. 개별소비세 ( 특별소비세 )
6. 다음중 직접세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조세 전가 효과가 없다.
② 누진세가 대부분을 이룬다.
③ 조세저항이 크다.
④ 조세의 역진성이 크다.
⑤ 상속세나 양도세가 해당된다.
7. 대한민국 국민들이 1년 365일 중 세금액에 해당하는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날짜는 얼마나 될까? 2008년 기준으로 국민순소득 대비 조세부담율은 약 25%다. 대한민국 국민들의 세금 해방일은 몇 월 몇 일일까?
8. 2015년 우리나라 정부 예산은 약 얼마였을까?
① 280조원 ② 305조원 ③ 310조원 ④ 356조원 ⑤ 375조원
9. 2015년 우리나라 정부는 어디에 세금을 가장 많이 사용했을까?
① 방위비 ② 교육비 ③ 보건·복지·고용비 ④ 연구개발비 ⑤ 일반행정비
정답 : 6. ④ 역진성이 큰 세금은 간접세다. 7. 국민순소득 대비 조세부담율이 25%면, 세금을 벌기 위해서는 일하는 기간은 3개월이다. 그러므로 4월 1일이 세금 해방일이다. 8. ④ 2015년 정부 예산은 약 356조원이다. 9. ⑤ 2015년 최초로 보건·복지·고용비 예산이 총 30%를 넘었다.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275~p276
'책읽기 > 경제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질소득 변화의 척도, GDI와 GNI 이해하기 (1) | 2025.04.23 |
---|---|
📌 GDP와 GNP의 차이, 그리고 한계점까지 한 번에 정리하기 (0) | 2025.04.22 |
정부 예산과 재정의 이해 (0) | 2025.04.20 |
소득재분배와 조세정책: 우리나라의 세금은 공평한가? (2) | 2025.04.19 |
미국은 왜 잘살고 소말리아는 아닐까? — GDP와 소득분배 지표로 본 경제력 비교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