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경제책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5장 경기순환과 정부정책을 읽어보자 경제학 퀴즈

반응형

5장 경기순환과 정부정책을 읽어보자

 

경제학 센스 퀴즈

 

1. '잃어버린 10년' 이라고 불리는 1990년대 일본의 경기침체, 2008년 ~ 9년 미국발 금융위기는 모두 부동산의 '이것' 때문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경제성장이나 경기호황은 실물 부문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이 보통인데, 특수한 조건에서 경기 국면이 실물 부문의 움직임과 괴리되어 실제보다 과대 팽창되어 있는 경기 상태를 부르는 용어는 무엇일까?

 

 

2. 1960년대 이후부터 2000년 이전까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 - )를 기록한 해가 딱 두 해가 있었다. 몇 년과 몇 년이었을까?

 

3. 미 상무부는 2008년 4분기 GDP 성장률이 -6.2%로 떨어지고, 실업률은 7.6%까지 치솟았다고 발표했다. 세계 역사상 최악의 경기침체로 불리는 미국 대공황 때의 공식 실업률은?

① 8%     ② 14%     ③ 24%     ④ 34%     ⑤ 44%

 

4. 일반적으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을 기록하면 경기침체로 규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기침체가 두 번 연이어 계속된다' 는 뜻으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끝나고 잠시 회복 기미를 보이는 듯 하다가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추락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무엇일까?

 

5. 일본처럼 경기가 침체된 후 회복되지 않고 지속되는 경기순환 모형을 알파벳 모양을 따서 ' (       )  자형 경기침체' 라고 한다.

 

6. 다음 중 경기가 침체할 때 기획재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것은?

① 예산의 조기집행     ② 추가경정예산의 확보     ③ 적극적인 기준금리 인하 정책     ④ 확장재정 추구%     ⑤ 세율 인하를 통한 국민가처분소득의 증가

 

정답 : 1. 버블경제, 거품경제   2. 1980년 ( 오일쇼크 ), 1998년 ( IMF 외환위기 )    3. ③      4. 더블 딥 ( double dip )

5. L    6. ③ 기준금리 인하 정책은 한국은행의 정책수단이다.

 

7. 확장 재정정책은 소득과 소비지출을 늘리며, 총수요가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정부지출을 1달러 늘였더니 수요가 2달러가 늘었다면, 이를 무슨 효과라고 하는가?

 

8. 1950년대 미국에서 인플레이션 논쟁이 있을 때, 물가와 실업률 사이에 역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의 2가지 정책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고 주장한 사람은?

 

9. 1987년 이래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 FRP ) 의장을 4번이나 역임하였으며, 1970년대 초 이후 28년 만의 최저 실업률, 29년 만의 재정흑자 및 고성장을 이끈 인물로 평가받았으나, 나중에는 2008년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라고 비판을 받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0. 미국 자본시장에서 외국인이 발행·판매하는 미국 달러화 표시 채권, 일본의 채권시장에서 외국의 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엔화 표시 채권의 이름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양키본드 - 벚꽃 본드     ② 양키 본드 - 사무라이 본드     ③ 랜드마크 본드 - 사무라이 본드     ④ 랜드마크 본드 - 벚꽃 본드    

 

11. 국제 금융시장의 기준금리로 활용되며, 국제 금융의 중심지인 영국 런던에서 우량은행끼리 단기자금을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금리이다. '런던 은행 간 금리' 의 머리글자를 따서 부르는 이 금리는?

① 콜금리     ② 리보금리     ③ 가산금리     ④ 국제금리     ⑤ 리버금리

 

12. 중앙은행이 경기침체시 일반적으로 취하는 정책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을 고르시오

① 기준금리 인하 - 지급준비율 인상 - 국공채 매입

② 기준금리 인상 - 지급준비율 인상 - 국공채 매입

③ 기준금리 인하 - 지급준비율 인상 - 국공채 매각

④ 기준금리 인하 - 지급준비율 인하 - 국공채 매입

⑤ 기준금리 인하 - 지급준비율 인하 - 국공채 매각

 

정답 : 7. 승수효과  일정량의 투자 증가가 얼마만큼의 소득 증가를 가져오는가를 밝히는 이론으로, 케인스 경제학의 주요 이론이다.     8. 필립스     9. 앨런 그린스펀     10.②     11. ② 리보금리 ( London Inter-bank Offered Ratio ) 는 런던 은행 간 단기금리이다.

12. ④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은 경기가 침체가 될 때 시중 통화량을 늘리는 정책을 취한다.

 

13. 다음 중 총수요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민간소비     ② 민간투자     ③ 정부지출     ④ 국민소득     ⑤ 수출

 

14. 2009년 우리나라 예금금리 인하폭은 외환위기 이후 1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8년 중반 연 7%대를 넘던 은행권 정기예금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고, 3%대 예금상품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이렇게 금리가 하락하면 물가와 국민소득은 각각 어떻게 될까?

① 물가 상승 - 국민소득 증가

② 물가상승 - 국민소득 감소

③ 물가하락 - 국민소득 증가

④ 물가하락 - 국민소득 감소

⑤ 물가 변함 없음 - 국민소득 변함 없음

 

15. "2009년 2월 환율이 1500원 선까지 치솟아, 외환위기 이후였던 1998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이뉴스를 들은 철수는 처음에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져서 경기가 풀리겠구나' 생각했다. 하지만 뒤늦게 고려하지 않은 변수들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환율이 상승하면 물가와 국민소득은 각각 어떻게 될까?

① 물가 상승 - 국민소득 증가

② 물가상승 - 국민소득 감소

③ 물가하락 - 국민소득 증가

④ 물가하락 - 국민소득 감소

⑤ 물가 변함 없음 - 국민소득 변함 없음

 

16. 고물가, 저성장 상태인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 정부는 총수요를 어떻게 조절해야 할까?

① 총수요를 증가시킨다.

② 총수요를 감소시킨다.

③ 총수요 조절 정책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13. ④ 국민소득은 총공급에 해당된다.    14. ① 일반적으로 금리가 내리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서 생산이 증가하고 물가도 상승한다.       15. ⑤ 환율 상승 → 수출 증대 → 국민소득 증가. 그러나 수입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여 총공급은 감소하고, 물가는 상승하지만 국민소득은 물가상승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6. ③ 스태그플레이션 때 총수요 증가 정책을 쓰면, 국민소득은 늘어나지만 가뜩이나 높은 물가가 더 상승한다. 총수요 감소 정책을 쓰면 반대로 물가는 잡히지만 경기침체가 심화되어 국민소득이 더욱 줄어든다. 결론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 '총수요 조절 정책'을 사용할 수 없다.

 

 

출처 : 최진기,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스마트북스(2015년), p232~p23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