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2.06.12_경제신문스크랩

경제뉴스 스크랩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기사링크
[한국경제] "이젠 선물도 어려워"…레고 인상 소식에 인기 제품 '싹쓸이'

- 8~9월 25% 인상 소식에…
  3040, 인기 제품 싹쓸이

- 원자재 플라스틱값 급등에
  105개 제품 가격 인상 나서
  운송비 등 더하면 30% 넘을 듯

- 부모들은 "이젠 선물도 어려워"

"이젠 선물도 어려워"…레고 인상 소식에 인기 제품 '싹쓸이' - 한국경제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 선정 및 복사하기
(3분)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급기야 직장인의 취미 생활까지 위협하고 있다. 키덜트(키즈+어덜트)의 ‘로망’인 레고 가격이 오는 8월 대폭 인상된다. 레고그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 부담을 제품 가격에 대폭 반영했다.

○ 레고 가격 대폭 인상



10일 완구업계에 따르면 레고그룹은 8~9월 전체 상품의 25%에 해당하는 105개 제품 가격을 최대 25% 올린다. 고가 인기 제품일수록 인상 폭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레고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바퀴 달린 상품은 전부 오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자동차 관련 상품 가격 인상 폭이 크다. 레고 ‘포르쉐911’과 ‘애스턴 마틴’ 제품은 8월 25%씩 가격이 오른다. 포르쉐911은 139.99유로(약 18만8100원)에서 169.99유로(약 22만4000원)로, 애스턴 마틴은 19.99유로(약 2만6000원)에서 24.99유로(약 3만3000원)로 인상된다.

또 다른 인기 모델 ‘닌자고 시티 정원’은 299.99유로(약 37만7000원)에서 17% 오른 349.99유로(약 44만1000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완구업계 관계자는 “레고는 환율과 운송비 등이 반영돼 통상 국내 가격이 해외보다 비싸다”며 “국내 판매가는 최대 30%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레고그룹이 이처럼 가격을 올리는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이다. 국제 유가가 치솟으면서 레고 블록의 원자재인 플라스틱 가격이 가파르게 올랐다. 레고그룹 관계자는 “원자재와 운영비가 급등해 일부 제품 가격을 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 “인플레에 취미 생활도 타격”

레고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가격 인상 소식이 전해지자 애호가들은 “평소 원하던 제품을 올여름 안에 반드시 사야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일부 매장에서는 인기 제품을 싹쓸이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부산 신세계 센텀시티몰을 찾은 김모씨(34)는 “세일 기간도 아닌데 매장이 썰렁할 정도로 제품이 많이 빠졌다”며 “인플레가 취미 생활에까지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레고는 어린이용 장난감으로 만들어졌지만, 30~40대 수요가 많은 독특한 상품이다. 아버지와 아들이 대를 이어 취미로 삼는 사례도 많다. 전 세계 레고 판매량 중 성인 레고 팬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정도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이다. 저렴한 레고 세트는 2만~3만원대지만 어른들이 많이 찾는 고가 상품은 20만원을 훌쩍 넘는다. 성인 마니아층이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10만원 이상 고가 상품 판매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마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레고 매출 상위 10개 제품 중 10만원 이상 상품은 2개였지만, 올해는 지금까지 5개로 늘어났다.

어린 자녀가 있는 부모들의 부담도 커졌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 부모들은 자녀에게 10만원 이상 고가 레고를 사주는 데 그동안 돈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가격이 대폭 오르게 되면서 인터넷 게시판에는 “앞으로는 레고 선물도 힘들 것 같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 ‘리셀’ 시장에서 수천만원에 거래

레고그룹으로서도 상품 가격을 25% 이상 인상하는 것은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부담스럽다. 다만 완구업계에서는 가격이 오르더라도 레고에 대한 고객들의 충성도는 견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체재를 찾기 어려운 데다 희소성에 따라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기도 해서다. 단종되거나 유통되는 수량이 적을수록 가격이 비싸진다. 리셀(되팔기) 플랫폼에 희귀 레고 제품이 나오면 100만원 이상을 쓰는 사람도 적지 않다.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주요 우주선 등을 조립하는 ‘스타워즈 에디션’의 몇몇 제품은 2000만원이 넘기도 한다. 2007년 출시된 ‘레고 카페 코너’의 발매가는 16만원이었으나, 지난해 12월 2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완구업계 관계자는 “인기 레고 세트는 1인 1구매를 원칙으로 할 정도로 수요가 많다”며 “가격이 오르더라도 소비자들이 감내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수치화
- 10일 완구업계에 따르면 레고그룹은 8~9월 전체 상품의 25%에 해당하는 105개 제품 가격을 최대 25% 올린다.
- 레고 ‘포르쉐911’과 ‘애스턴 마틴’ 제품은 8월 25%씩 가격이 오른다.
- 포르쉐911은 139.99유로(약 18만8100원)에서 169.99유로(약 22만4000원)로, 애스턴 마틴은 19.99유로(약 2만6000원)에서 24.99유로(약 3만3000원)로 인상된다.
- 또 다른 인기 모델 ‘닌자고 시티 정원’은 299.99유로(약 37만7000원)에서 17% 오른 349.99유로(약 44만1000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 완구업계 관계자는 “레고는 환율과 운송비 등이 반영돼 통상 국내 가격이 해외보다 비싸다”며 “국내 판매가는 최대 30%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전 세계 레고 판매량 중 성인 레고 팬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정도로 추산된다.
- 저렴한 레고 세트는 2만~3만원대지만 어른들이 많이 찾는 고가 상품은 20만원을 훌쩍 넘는다. 성인 마니아층이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10만원 이상 고가 상품 판매가 늘어나는 추세다.
- 이마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레고 매출 상위 10개 제품 중 10만원 이상 상품은 2개였지만, 올해는 지금까지 5개로 늘어났다.
- 레고그룹으로서도 상품 가격을 25% 이상 인상하는 것은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부담스럽다.
- 리셀(되팔기) 플랫폼에 희귀 레고 제품이 나오면 100만원 이상을 쓰는 사람도 적지 않다.
-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주요 우주선 등을 조립하는 ‘스타워즈 에디션’의 몇몇 제품은 2000만원이 넘기도 한다.
- 2007년 출시된 ‘레고 카페 코너’의 발매가는 16만원이었으나, 지난해 12월 2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인사이트
-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급기야 직장인의 취미 생활까지 위협하고 있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키덜트란 무슨 뜻일까?
 키덜트란 어린이와 어른의 합성어로 성인이 되었는데도 여전히 어렸을 적의 분위기와 감성을 간직한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 키덜트의 유래는?
 키털트라는 용어는 텔레비전 산업이 발달하던 1950년대에 나온 단어다. 아동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방송을 시청하는 성인들을 지칭하면서 키덜트라고 부른 것이다. 그러나 요즘 마케팅에서 주요한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의견 내용 : 키덜트는 또 하나의 팬덤이라 레고 시장 타격이 덜 할 듯?

주제 설명
  • 현안 
    현안 : 물가가 비싸지다 보니 레고 시장에서도 레고 가격을 올리겠다고 한다.

  • 제도, 사업의 장점, 단점 등 정리 
    제도 : 레고 가격을 오는 8월 올린다.
    장점 : 딱히 없다
    단점 : 레고 시장이 잠시 주춤할지도 모른다.

  • 적용방안 & 정리
    적용방안 & 정리 : 레고 시장도 이제 레고 가격을 올리겠다고 한다. 키덜트 사이에서 레고는 유행이다. 그래서 레고 시장이 잠시 주춤할지 몰라도 레고는 키덜트 시장에서 잘 팔리는 물품이므로 잘 팔릴 것이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  레고가 키덜드 시장에서 유명한가요?? 유명하다면 키덜드 시장에서 점유율은 얼마나 되나요?
- 키덜드 시장에서 가격이 올라가도 사재기한 제품들이 있을까요?
- 앞으로 레고 시장은 어떻게 변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연관기사 링크 레고 - 레고코리아
키덜트 - 위키백과
[르포] "짱구 피겨 새로운 것 나왔나요?" 장난감 시장 '큰손' 키덜트, 문화로 자리 잡을까 - 아시아경제
[논문]키덜트의 소비행동분석 - RISS
음지에서 양지로… 키덜트를 잡아라! - 코리안클릭
어릴 적 동심 찾는 ‘어른이’ 열풍...X세대도, MZ도 “레고·바비 주세요” - 매일경제